많은 분이 매년 국가건강검진 대상자인지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지나갑니다. 얼마 남지 않은 2025년, 건강을 위해서라도 꼭 체크해야 합니다. 지금부터 2025년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및 검진 항목·예약방법을 총정리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빠르게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를 원한다면 하단 링크에서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모르면 손해 보는 정보
건강검진 대상자
2025년 국가건강검진은 만 20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받을 수 있습니다. 단, 보험 자격이나 직종에 따라 검진 주기가 다릅니다.
🔹기본대상 : 만 20세 이상(2005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직장가입자
▫️사무직 근로자 – 2년마다 실시
▫️비사무직 근로자 – 매년 실시 (건강위험 노출도 높기 때문)
🔹지역가입자·피부양자 : 2년마다 검진
🔹의료급여 수급자 : 만 19세~64세 이하, 홀수년도 출생자는 2025년 대상
🔹출생연도 기준 : 2025년은 홀수년도 출생자(1981, 1983, 1985, 1987, 1989… 등) 대상
예를 들어 1983년생은 올해 대상자이며, 배우자가 1984년생이라면 내년 대상자입니다.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 로그인 →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선택
🔹모바일 앱 ‘The건강보험’ → 건강검진 메뉴 → 대상자 조회 클릭
🔹전화 문의 : 1577-1000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
🔹문자·우편 안내 : 공단에서 발송되지만, 간혹 누락될 수 있으므로 앱 조회 권장
‘The건강보험’ 앱으로 확인하면 1분도 걸리지 않았습니다. 대상자라면 바로 검진 예약 링크로 이동할 수 있고, 가까운 지정검진기관을 지도에서 바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건강검진 대상자 검진 항목
건강검진 항목은 공통검사 + 연령·성별별 맞춤검사 + 암검진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항목을 미리 알고 준비하면 빠르고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공통검사 : 신장, 체중, 허리둘레, 시력, 청력, 혈압, 혈액검사(혈당·지질·간기능 등), 요검사, 흉부 X-ray, 구강검진
🔹연령별 검사
▫️B형간염 – 만 40세
▫️정신건강(우울증 검사) – 만 20·30·40·60·70·80세 (단, 2025년부터 20~34세는 2년마다 검사)
▫️골다공증 – 여성 만 54세, 66세, 70세 + 2025년부터 만 60세 여성 추가 대상
▫️인지기능(치매 선별) – 만 66세 이상, 2년마다 실시
🔹2025년 신규 항목
▫️C형 간염 항체검사 – 만 56세(1969년생) 필수. 항체 양성이면 RNA 확진검사까지 국가 100% 지원
건강검진 대상자 예약방법
2025년은 11월, 12월 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해당 시기는 건강검진이 몰리는 시기라 하루라도 빨리 예약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약경로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지정 검진기관 검색 후 예약
▫️‘The건강보험’ 앱에서도 바로 예약 가능
▫️전화로 병원 직접 예약 가능
🔹지정기관 제한 없음 : 거주지 외 병원에서도 가능
🔹당일 준비 : 10~15분 일찍 도착해 문진표 작성, 금식 확인, 복용약 정보 안내
건강검진 비용
“건강검진 무료인 줄 알았는데 병원에서 돈을 내라더라”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기본검진은 전액 무료, 일부 항목만 본인 부담입니다.
🔹일반건강검진 : 국민건강보험공단 전액 부담 (무료)
🔹국가암검진
▫️대장암, 자궁경부암 → 전액 무료
▫️위암, 간암, 유방암, 폐암 → 본인부담 10%
▫️의료급여수급자 및 저소득층(보험료 하위 50%)은 전액 면제
🔹비급여 항목 : 수면내시경, 초음파, MRI 등은 선택검사로 본인 부담
예를 들어 위암 검진 중 ‘수면내시경’을 선택하면 약 5만~12만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합니다. 수면내시경은 비급여 항목이라 국가가 지원하지 않습니다. 검사 정확도는 일반 내시경과 같으므로, 예산에 따라 선택하면 됩니다.
맺음말
지금까지 2025년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및 검진 항목·예약방법이었습니다. 건강이 최우선입니다. 올해 대상자라면, 11월~12월 안에 꼭 검진 받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