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채용을 고민하는 기업 또는 취준생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제도가 바로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입니다. 지금부터 최대 1200만원을 받을 수 있는 2025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조건 및 신청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모르면 손해 보는 정보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란?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청년을 채용한 중소·중견기업에 인건비 일부를 현금으로 직접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개인(청년)도 장려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실질적인 인건비 부담을 줄여주기 때문에 기업, 청년 모두에게 도움이 됩니다.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알아보기
유형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유형1(일반형)과 유형2(빈일자리특화형)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각각 지원대상과 지급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 유형1(일반형) : 5인 이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이 ‘취업애로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 6개월 이상 고용 유지
- 유형2(빈일자리특화형) : 제조업 등 인력난 업종의 기업이 청년을 채용하고 6개월 이상 고용 유지
지원금 신청 시기와 횟수, 조건 등에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신청 전, 유형을 정확히 확인해야 합니다.
✔️ 인력난 업종은 어떤 게 있나요? 제조업, 건설업, 운수업, 음식·숙박업, 돌봄·요양업 등이 해당됩니다. 구체적으로는 뿌리산업, 조선업, 반도체, 자동차 부품, 물류, 배달, 간병, 요양시설 같은 업종이 포함됩니다.
대상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기업과 청년은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기업 조건 : 5인 이상 우선지원대상기업, 최근 1년간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가 평균 5인 이상
- 청년 조건 : 채용일 기준 만 15세 이상 ~ 34세 이하(군필자 최대 만 39세), 취업애로청년
청년은 필히 ‘취업애로청년’에 해당되어야 합니다. 하단 링크에서 자격조건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기업은 5인 미만이라도 지식서비스업, 청년창업기업, 미래유망기업 해당 시 유형1에 한하여 예외적 승인 가능
✔️ 취업애로청년이 아니더라도 기업은 조건이 맞으면 지원 가능
내용(금액)
청년 채용 6개월 이상 고용을 유지한 시점부터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지급이 가능합니다.
📌 1유형(기업지원)
▪️채용 후 6개월 이상 유지 시 : 1회차 240만원
▪️채용 후 9개월 이상 유지 시 : 2회차 240만원
▪️채용 후 12개월 이상 유지 시 : 3회차 240만원
▪️1~3회차 ▷ 최대 총 720만원 지급
📌 2유형(기업+청년 동시지원)
▪️기업은 1유형과 동일하게 최대 720만원
▪️청년 18개월 이상 재직 시 : 240만원 지급
▪️청년 24개월 이상 재직 시 : 240만원 지급
▪️1~2회차 ▷ 최대 총 480만원 지급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자동으로 입금되지 않습니다. 각 정해진 기간에 직접 신청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기업은 1년 이내 3회차까지 모두 신청해야 전액 지원이 가능합니다. 청년 역시 각 회차 만료일 기준 2개월 이내에 신청하지 않으면 지급이 불가합니다.
서류
기업과 청년이 각각 다음 서류를 제출해야 심사가 진행됩니다.
- 기업 : 사업자등록증, 고용보험 피보험자 목록, 참여신청서, 청년 채용일 관련 증빙자료
- 청년 : 주민등록등본, 졸업증명서, 고용보험 가입이력확인서, 국민취업지원제도 또는 일경험사업 참여이력(해당자)
하단 링크에서 제출서류를 필히 다운받으시기 바랍니다.
신청방법
신청은 온라인 ‘고용24’ 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고용24 홈페이지 회원 가입 ▷ 기업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 서류 업로드 ▷ 사업 참여신청] 순으로 진행합니다. 채용기간에 맞춰 신청해야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하단 링크에서 빠르게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 청년(유형2)은 [고용24 홈페이지 회원가입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 청년 인센티브 신청 ▷ 서류 업로드 ▷ 신청] 순으로 진행
맺음말
지금까지 2025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조건 및 신청방법을 말씀드렸습니다.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될수도 있는 만큼, 대상이 된다면 빠르게 신청할 것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