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만치 않은 교육비 때문에 부담을 느끼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저소득층이면 더 심할텐데요. 정부에서는 이런 분들의 어려움을 돕고자 평생교육바우처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평생교육바우처 신청방법 및 조건을 완벽정리해 말씀드리겠습니다.
2025년 온라인 사용처를 함께 전달드리니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모르면 손해 보는 정보
평생교육바우처란?
평생교육바우처란, 사회적취약계층이 자유롭게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하는 정책입니다. 자격증 획득 및 학력 취득, 문화예술 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학습 기회를 제공합니다. 활용 범위가 넓고 장기간 쓸 수 있어 만족도가 높습니다.
평생교육바우처 자세히 알아보기
조건(자격)
평생교육바우처는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합니다. 이외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기초생활수급자(생계·의료·주거·교육 수급자)
- 차상위계층(장애연금·장애수당·자활·본인부담경감 대상자)
- 한부모가족보호 대상자
- 등록 장애인
- 기준 중위소득 65% 이하(1인 가구 중위소득 120% 이하)
신청기간
하단 링크에서 2025년 평생교육바우처 신청기간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매년 신청기간 상이
사용방법(+금액)
평생교육바우처는 1인당 연간 35만원을 지원합니다. 해당 금액은 아래와 같은 바우처 카드를 지급 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등록된 교육기관에서 원하는 강좌를 선택하고, 바우처 카드로 결제하면 됩니다. 수강료 및 강좌 관련 교재비도 모두 가능합니다. 단, 연간 사용하지 않은 금액은 자동 소멸됩니다. 다음해로 이월하거나 현금으로 인출할 수 없으니 반드시 당해에 소진할 것을 권장합니다.
※ 연간 수강료로 35만원을 초과할 시, 추가 금액은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주의사항
평생교육바우처는 수강 외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지원이 취소됩니다. 유아 및 어린이, 청소년 등 만 19세 미만의 강좌를 수강하거나 전자책, 통신기기, 가입비, 자격증 응시료, 보험료, 택배비 등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환불은 카드 취소로 진행됩니다. 단, 현금 또는 물품으로 돌려 받을 경우 패널티가 부과될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출서류 및 신청방법
①평생교육이용권 신청서 ②개인정보 제공 동의서 ③자격요건 증빙서류(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 차상위계층 확인서,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등)을 제출해야 합니다.
신청은 평생교육바우처 공식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할 수 있습니다. [평생교육바우처 홈페이지 로그인 ▷ 신청 ▷ 서류 제출 ▷ 심사 ▷ 바우처 카드 신청 ▷ 카드 수령 ▷ 강좌 이용] 순으로 진행합니다. 심사는 보통 3~4주 정도 소요되며 결과는 문자로 받습니다.
승인이 되면 가까운 NH농협은행(농·축협 포함)에 ①신분증 ②승인 안내 문자를 지참, 방문하거나 농협카드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평생교육바우처 사용처(사용기관)
평생교육바우처는 지자체 평생학습관, 대학 부설 평생교육관, 학점인정과정 운영기관을 비롯해 다양한 곳에서 쓸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온라인 EBS 강좌, 한국사이버평생교육원, 에듀윌, 클래스101, 해커스, 인프런, 야나두 등에서 가능합니다. 자세한 사용기관은 하단 링크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평생교육바우처 자주 묻는 질문
Q) 필라테스 받아도 되나요?
가능합니다. 단, 바우처 사용기관으로 등록된 곳에서만 받을 수 있습니다. 에스바디워크, 파인미, 바요, 보니따, 룩스, 영스, 엠씨, 더존, 언니네 등이 대표적입니다. 👉 필라테스 사용처 조회
Q) 일본어, 영어는 어디에서 받는 게 좋나요?
보통 EBS, 다락원, 해커스톡, 시원스쿨의 선호도가 높습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곳이 있기 때문에 커리큘럼을 확인 후 선택하실 것을 권장합니다.
Q) 바리스타 교육도 가능한가요?
가능합니다. 전 지역 122곳이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거주지에서 가까운 사용처에서 받으면 됩니다.
맺음말
지금까지 평생교육바우처 신청방법 및 조건을 완벽정리해 말씀드렸습니다. 자격조건이 된다면 교육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혜택이니 꼭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