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비 부담 때문에 힘드신가요? 정부에서 지원하는 주택 상품은 많은데 뭐가 좋은지 몰라 선택이 어려우신가요? 지금부터 만족도 높은 통합공공임대주택 신청자격 및 입주조건 임대료를 완벽정리해 말씀드리겠습니다. 혜택이 많으니 필독 추천합니다.
모르면 손해 보는 정보
통합공공임대주택이란?
통합공공임대주택은 기존의 영구임대, 국민임대, 행복주택 등으로 나누어졌던 공공임대주택을 하나의 유형으로 통합한 상품입니다. 유형별로 자격 조건이 달라 복잡했던 단점을 단순화하여 다양한 계층이 쉽게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개선되었습니다. 낮은 임대료로 장기가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통합공공임대주택 자세히 알아보기
입주자격
통합공공임대주택은 ①모집공고일 기준 세대주 및 세대원 모두 무주택자에 해당되어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예외적으로 청년(만 39세 이하)은 부모님과 같이 살아도(세대주가 아니어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고령자(65세 이상)는 세대원 없이 혼자 살아도 신청 가능합니다.
이외 ②중위소득 우선공급 100% 이하(일반공급 150% 이하) ③총 자산 3억 4,500만원 이하 ④차량 3,708만원 이하 등에 해당되어야 합니다. 신청자에 따라 세부 내용에 차이가 있으니 자세한 자격은 하단 링크에서 확인(필수)하시기 바랍니다.
신청자격
통합공공임대주택 신청자격은 우선공급과 일반공급 대상자로 나뉩니다. 우선공급 대상자에게 우선적으로 60% 입주기 회를 제공하며, 이후 일반공급 대상자(40%)가 신청할 수 있습니다. 각각 신청자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우선공급(60%)
🔹철거민 및 재개발·재건축 이주 세입자
🔹국가유공자, 장애인, 독거노인
🔹다자녀 가구(미성년 자녀 2명 이상)
🔹한부모가족, 고령자(65세 이상)
🔹비주택 거주자 (쪽방, 고시원, 컨테이너 등에서 3개월 이상 거주)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 일반공급(40%)
🔹청년(만 18~39세)
🔹신혼부부 및 예비신혼부부(혼인 7년 이내)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가구
🔹65세 이상 고령자
2가지 모두에 해당된다면 우선공급 배점 기준으로 점수를 산정합니다. 만약 탈락하면 일반공급으로 다시 신청할 수 있습니다.
공급주택(+면적)
통합공공임대주택은 세대원 수에 따라 배정되는 전용면적이 달라집니다.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더 넓은 면적을 지원합니다.
📌 단지내 60㎡ 초과 주택이 있는 경우
📌 단지내 60㎡ 초과 주택이 15% 미만인 경우
세대원 수는 신청자 본인을 포함 주민등록상 동일 세대에 거주하는 가족을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 중증장애인은 예외적 대상자에 해당, 거주자 수와 상관없이 넓은 면적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1~2인 중증장애인 기준 50㎡ 이하까지 가능합니다.
임대료 및 보증금
임대료 및 보증금은 소득 수준 및 지역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 2가지의 비율은 신청자의 상황에 따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즉, 보증금을 추가로 내면 월세를 낮출 수 있는 방식입니다.
- 중위소득 50% 이하 : 시세의 35%
- 중위소득 70% 이하 : 시세의 50%
- 중위소득 100% 이하 : 시세의 65%
- 중위소득 150% 이하 : 시세의 80%
월소득 200만원인 중위소득 50% 이하의 가구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주변 시세가 보증금 3천만원에 월세 60만원이라면 35%만 부담하면 됩니다.
- 월세 : 60만 원 × 35% = 월 21만 원
- 보증금 : 3,000만 원 × 35% = 보증금 1,050만 원
만약 보증금 더 내고 월세를 낮춘다면 전환이율 3.5%가 책정됩니다. 예를 들어 보증금 3,250만원, 월세 52만원이라면 전환이율 3.5%를 책정, [500만원 * 3.5% * 12개월] 1.46만원이 감소합니다. 매월 52만원에서 50.54만원을 내면 된다고 이해하면 됩니다. 반대로 보증금을 줄이고 월세를 늘릴 경우 7%의 전환이율을 적용합니다.
제출서류 및 신청방법
①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중 택 1) ②주민등록등본 ③가족관계증명서 ④원천징수영수증 또는 근로소득원천징수부 ⑤(보유 시)부동산등기부등본, 자동차등록원부 ⑥(해당 시)장애인 증명서, 국가유공자증명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신청은 [입주자 모집공고(LH·SH 홈페이지) 확인 ▷ 온라인 또는 현장 신청 ▷ 세류 제출 ▷대상자 발표] 순으로 진행합니다. 모집공고는 수시로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매주 체크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서류 심사는 보통 1~2주가 소요되며, 발표 및 계약체결까지 4주 정도 예상하면 됩니다. *모집공고에 따라 차이있음
하단 링크에서 모집공고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맺음말
지금까지 통합공공임대주택 신청자격 및 입주조건 임대료를 완벽정리해 말씀드렸습니다. 특히 저소득층, 신혼부부, 고령층은 다른 정부지원 상품에 비해 좋은 조건에 거주가 가능합니다. 꼭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