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만치 않은 주거비용 때문에 청년의 걱정이 날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정부지원이 많다는데 막상 어떤 게 좋은지 결정하기 어려운데요. 지금부터 만족도 높은 청년매입임대주택 후기, 1분이면 신청 완료되는 꿀팁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모르면 손해 보는 정보
청년매입임대주택이란?
청년매입임대주택이란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지방공사가 매입한 주택을 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하는 공공주택입니다. 대학생, 취준생의 안정적인 주거환경을 통해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청년매입임대주택 알아보기
자격조건
①만 19세 이상 ~ 39세 이하 미혼 청년 ②대학생(재학 또는 복학 예정자) 또는 취업준비생 ③본인 월평균소득 100% 이하 ④자산 2억 7,300만원 이하 ⑤자동차 3,708만원 이하 ⑥무주택자에 해당돼야 합니다. 더불어 소득 수준에 따라 우선 순위가 달라집니다.
- 1순위 : 생계 및 의료·주거급여 수급자 가구, 한부모 가족, 차상위계층
- 2순위 : 본인 + 부모 월평균소득 100% 이하
- 3순위 : 본인 월평균소득 100% 이하
2순위는 본인 + 부모 합산 자산이 2억 7,300만원, 자동차 3,708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3순위는 순수 본인 자산과 자동차 가액이 각각 2억 7,300만원, 3,708만원 이내면 됩니다. 자산은 부동산, 자동차, 금융자산(예적금·주식·채권), 회원권 합산한 후 부채를 뺀 금액입니다. *신용점수 무관
거주기간 및 임대조건
거주기간은 기본 2년이며, 자격조건이 되면 최대 4회까지 연장(최장 10년)할 수 있습니다. 만약 입주 후 혼인을 했다면 추가로 5회가 더 주어져, 최장 20년까지 거주 가능합니다. 임대조건은 우선순위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 1순위 : 보증금 100만원, 임대료 시세 대비 40%
- 2·3순위 : 보증금 200만원, 임대료 시세 대비 50%
단, 이는 절대적인 것이 아닙니다. 지역 및 위치, 면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제출서류 및 신청방법
①신분증 ②주민등록등본 ③가족관계증명서 ④개인정보수집 동의서 ⑤금융정보 제공동의서 ⑥자산보유사실확인서 ⑦재학증명서 또는 졸업증명서가 필요합니다. 모집공고에 따라 추가서류가 요청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신청은 LH청약센터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습니다.
①[LH청약 플러스 홈페이지 ▷ 임대주택 ▷ 모집공고] 순으로 선택합니다.
②유형은 ‘매입임대’, 입주자격 및 지역은 본인에 맞게 선택합니다. 검색을 누르면 현재 체크할 수 있는 공고가 뜹니다.
③관심 공고를 선택 후, 아래로 스크롤을 내리면 접수기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날짜에 맞춰 해당 공고에 들어오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서류가 미비할 경우, 심사가 지연되거나 탈락할 수 있으니 꼼꼼하게 챙길 것을 권장합니다. 하단 링크에서 현재 청년매입임대주택 모집공고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매입임대주택 후기
취업준비로 월세 부담이 너무 컸습니다. 부모님께 도움을 받기 부담스러워서 청년매입임대주택을 알아보게 됐습니다. L경쟁이 치열하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던터라 솔직히 큰 기대는 없었습니다. 그러나 다행히도 2순위 조건에 해당, 입주 기회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배정받은 곳은 경기 지역 오피스텔이었습니다. 교통도 괜찮고 주변에 편의점, 마트, 공원이 있어서 생활하기에 불편함이 없었습니다. 특히 월세가 시세 대비 50% 수준이라 매달 고정적으로 나가는 비용이 확 줄었습니다. 보증금은 적금을 깨기 싫어서 비상금대출을 활용하였습니다.
주거비 걱정이 덜어지니 취업 준비에 더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 긍정적으로 고려해봐도 좋을 거 같습니다.
청년매입임대주택 대안
청년매입임대주택이 아니더라도 대안으로 쓸 수 있는 청년 정책이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버팀목, 보증부월세대출, LH청년임대, 중기청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상품에 따라 면적, 보증금, 월세 등 차이가 크기 때문에 본인 상황에 맞춰 신청할 수 있습니다.
특히 버팀목전세대출은 최대 2억원 이내 보증금을 연 1%대로 쓸 수 있기 때문에 만족도가 높습니다. 하단 링크에서 꼼꼼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맺음말
지금까지 청년매입임대주택 후기, 1분이면 신청 완료되는 꿀팁을 말씀드렸습니다. 원하는 주택을 찾으려면 자주 공고를 확인해야 합니다. ‘청약플러스‘앱을 다운 받아 1주에 한 번씩 확인하실 것을 권장합니다.